비트코인을 사느니 튤립을 사겠다?

비트코인을 사느니 튤립을 사겠다는 한겨례 칼럼에 대한 반론

칼럼에서는 비트코인에 대한 현재의 가격 급상승은 실체가 없어서 순전한 투기에 불과하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만 이는 비트코인의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고 성급한 결론을 내린 것입니다. 현재의 가격 수준이 적정한 것인지(이글을 쓰는 현재 1비트코인은 1,200만원입니다)는 제가 평가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만 비트코인이 실체가 없다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비트코인은 이중지급을 중앙기관 없이 체크할 수 있는 최초의 전자화폐입니다. 그러한 체크는 전세계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한 컴퓨터들의 컴퓨팅 파워로 이루어 지고 견제됩니다. 참여하는 컴퓨터가 많을수록 더 안전한 시스템이 됩니다. 그런 시스템의 가격이 비트코인의 가격입니다. 컴퓨터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시스템은 세상에 없던 시스템이므로 그 가격이 얼마인지는 평가하기 어렵지만 그렇다고 실체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비트코인 외에도 다른 암호화폐가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스템의 가치는 얼마나 많은 컴퓨터가 참여하는지에 의하여 결정됩니다. 참여하는 컴퓨터의 수가 많으면 보다 안전한 데이터베이스가 되고 적다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많은 암호화폐가 쉽게 만들어 질 수 있지만 참여하는 컴퓨터의 수를 비트코인 수준으로 올리지 못한다면 사람들은 비트코인을 사용할 가능성이 크고 네트워크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고 봅니다.

비트코인의 가치가 중앙기관(화폐 시스템에서는 중앙은행과 각종 은행) 없이 화폐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라고 한다면 중앙기관을 신뢰하기 싫어하는 수요가 있는 이상 비트코인은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봅니다. 얼마나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인지가 포인트이기는 한데 아직 미래를 전망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비트코인이 널리 퍼지면 퍼질수록 입지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 힘 있는 기관(예를 들어 중앙은행과 각종 은행)이 기득권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트코인을 견제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결국 비트코인의 근저에 있는 개인의 권리를 증진 시키는 면, 즉 모든 구성원이 함께 가치 있는 정보에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 줄 때 우리 사회가 문화, 거래, 종교, 정부 등을 어떻게 조직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면을 시민사회가 얼마나 빨리 깨우칠 수 있는지가 핵심 관전 포인트라고 봅니다. 그러한 면을 깨우치기 전에 중앙기관의 견제가 성공한다면 비트코인의 가치는 점점 줄어들 것이고, 중앙기관의 견제가 성공하기 전에 그러한 면이 발견된다면 비트코인의 가치는 점점 늘어날 것입니다. 그런 맥락에서는 현재의 투기적인 분위기가 중앙기관의 견제론에 힘을 더해주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

댓글을 입력하세요. 위키 문법이 허용됩니다:
O I Q X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