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dexmenu_n_3

감시사회와 사생활의 자유

상업화의 바람 속에서, 인터넷은 감시기술을 중심으로 발전합니다. 상품 판매, 망 이용대금 부여와 망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고자 하는 기업의 욕구는 컴퓨터에 일정한 자취 내지 기록을 남기는 방향으로 인터넷을 이끕니다. 이런 방향의 발전은 다음 단계로 맞춤형 추천 또는 광고를 위해서 개인의 인터넷 사용내역을 기록하기 시작합니다.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모든 개인은 물리적으로 기계를 소지하고 다닙니다. 그 결과 개개인의 이동 내역은 물론 건강 상태까지 모든 행동을 기록하기 시작합니다. 소셜네트워크는 개인에 대한 정보를 넘어 개인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기록합니다.

개인에 대한 모든 기록은 데이터베이스화 되고 분석될 뿐 아니라, 분석 결과를 가지고 개개인을 자극하고 그 결과를 다시 기록하고 분석하여 정교하게 발전합니다. 인공지능은 이러한 사람 사이의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최적화 되어 발전합니다. 이른바 기계(Mind Control Machine)가 사람의 마음을 조정할 수 있게 됩니다.

암호 논쟁 - 엿보기 사회의 여명

암호기술의 의미

암호 기술 규제 수출제한

백도어와 감청

공인인증서 문제

신분확인 문화 - 엿보기 사회의 시초

익명권

실제

엿보기 사회에서 엿보기 문화로

웹에 행위가 기록되기 시작하다.

무선전화 및 스마트폰 - 휴대용 감시장치

Locationgate

이미지 인식 기술

얼굴 인식 기술

타투

RFID

정부가 눈을 뜨다

사회 곳곳에 감시가 이루어 지다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위험성

데이터의 수집, 분석, 교환 그리고 데이터 골드러쉬

소셜 네트워크

사람사이의 관계가 기록되다

정부의 관심

민주화 도구로서의 가능성

표현의 자유 보호대상에서 통제자로

인공지능, 자율주행

공유경제

대안으로서의 블록체인

법제도와 그 한계